JAVA 15

[JAVA] 배열을 for문에서 사용하기 (like foreach)

배열을 for문에서 사용하기 다른 언어의 foreach문과 유사합니다. public class Test { 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 int arr[] = {1, 2, 3, 4, 5}; for(int num : arr) { System.out.println(num); } } } 배열에 들어 있는 값들을 하나씩 변수에 대입시킵니다. num변수에 1, 2, 3, 4, 5 순서대로 값을 가져옵니다. 배열의 자료형과 값을 가져올 변수의 자료형은 같아야합니다.

JAVA 2022.03.30

[JAVA] ArrayList에 값이 존재하는지 확인 (check exist)

JAVA ArrayList에 값이 존재하는지 확인 (Check if a value exist in ArrayList) contains 메소드를 사용해서 ArrayList에 값이 존재하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. contains 메소드에 파라미터로 확인하고 싶은 값을 넘겨주면 true, false로 존재 여부를 리턴해줍니다. import java.util.ArrayList; public class Test { 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 ArrayList myList = new ArrayList(); Dog d = new Dog(); Dog e = new Dog(); myList.add(d); myList.add(e); boolean exist = myList.c..

JAVA 2022.03.29

[JAVA] ArrayList size 구하는 방법

JAVA ArrayList Size 구하는 방법 JAVA ArrayList Size는 size() 함수를 사용하여 구할 수 있습니다. 아래 예제는 myList라는 이름의 ArrayList를 만들고 myList.size();로 크기를 구합니다. import java.util.ArrayList; public class Test { 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 ArrayList myList = new ArrayList(); Dog d = new Dog(); Dog e = new Dog(); myList.add(d); myList.add(e); int sizeOfArrayList = myList.size(); } }

JAVA 2022.03.29

[JAVA] 쓰레드(Thread)

자바 쓰레드 사용 방법 [1] Thread란 병렬 처리 방법 여러 가지 일을 동시에 진행하는 것처럼 보이게 할 수 있습니다. 즉 main thread와 'a' 라는 thread가 있다면 이 둘을 번갈아 가면서 실행하는 것입니다. [2] 코드 pubilc class ex01 { pubil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 Runnable threadJob = new ex02(); Thread myThread = new Thread(threadJob); myThread.start(); System.out.println("1"); } } 1. Runnable 객체를 만듭니다. 2. Thread를 만들고 Runnable 객체를 전달합니다. 3. Thread객체를 실행합니다. publ..

JAVA 2019.10.09

[JAVA] 파일입출력 (버퍼 사용, 파일에 쓰기, 파일 읽기, FileWriter, FileReader)

자바 파일입출력 [1] 텍스트 파일에 쓰기 import java.io.*; public class ex01 { 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 try { BufferedWriter writer = new BufferedWriter(new FileWriter("test.txt")); writer.write("Hello"); writer.close(); } catch(Exception ex) { } } } 먼저 'java.io.*' 을 import 해야 합니다. FileWriter만을 이용해서 쓸 수도 있지만 버퍼를 사용하는 것이 훨씬 효율적입니다. FileWriter만을 사용하면 문자열을 전달할 때마다 파일에 쓰기 작업을 하지만 버퍼를 사용하면 버퍼가 꽉 찰 때까지..

JAVA 2019.10.09

[JAVA] 객체를 제거하는 방법

자바 객체 제거 [1] 레퍼런스가 영원히 영역을 벗어남 void A() { School s = new School(); } 메소드가 종료되면 's' 라는 레퍼런스도 죽어버립니다. [2] 레퍼런스에 다른 객체를 대입 School s = new School(); s = new School(); 레퍼런스 's' 에 새로운 객체를 대입하면 첫번째 객체는 버려집니다. [3] 레퍼런스를 직접 'null' 로 설정 School s = new School(); s = null; 's' 를 '해제' 하면 첫번째 객체는 버려집니다. 즉 레퍼런스 's' 가 아무 객체도 참조하지 않는 것입니다. 레퍼런스가 참조하지 않는 객체는 가비지 컬렉션의 대상이 되어 자동으로 정리됩니다.

JAVA 2019.10.09

[JAVA] 생성자, 부모클래스 생성자 호출 방법, super

자바 생성자 [1] 생성자 생성자는 객체를 생성할 때 실행되는 부분입니다. 생성자는 직접 만들지 않더라도 default 생성자가 존재합니다. Dog d = new Dog(); 이렇게 객체를 생성하면 생성자가 호출됩니다. 보통 생성자에서는 객체의 상태를 초기화합니다. 생성자가 인자를 필요로 한다면 다른 메소드들처럼 인자 전달도 가능합니다. 생성자는 리턴 유형이 없습니다. 생성자는 생성자 오버로딩을 이용해 여러개를 만들 수 있습니다. public class Dog { String name; public Dog() { name = "Tom"; } public Dog(String name) { this.name = name; } } public class main { public static void main(..

JAVA 2019.10.09

[JAVA] 인터페이스(interface)

자바 인터페이스 [1] 자바의 Interface 자바에서는 다중 상속을 제공하지 않습니다. 대신 자바에서는 인터페이스 라는 것을 제공하여 다중 상속의 이점을 누릴 수 있도록 해줍니다. 자바 인터페이스는 100% 순수한 추상 클래스와 비슷합니다. 인터페이스의 모든 메소드는 추상메소드입니다. 따라서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는 클래스는 모든 메소드를 구현해야 합니다. 인터페이스를 정의 하려면 public interface Pet {.......} 인터페이스를 구현하려면 public class Dog implements Pet {........} pubilc interface Shape { public abstract void rotate(); } 인터페이스의 메소드는 자동으로 public abstract가 되므로 ..

JAVA 2019.10.09

[JAVA] 상속

자바 상속 [1] 상속 부모 클래스의 기능을 자식 클래스가 물려받는 것을 상속이라 합니다. 원, 삼각형, 사각형이라는 클래스가 있습니다. 이 클래스들은 각각 rotate() 라는 메소드를 가지고 있습니다. rotate() 라는 동일한 메소드를 각각 따로 만들면 매우 비효율적입니다. 이 때 상속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. 도형이라는 클래스를 만들고 거기에 rotate() 메소드를 만듭니다. 이때 rotate() 메소드를 public 또는 protected로 만들어야 합니다. private으로 할 경우 자식 클래스에서 사용할 수 없습니다. 이렇게 구현된 rotate() 메소드는 도형 클래스를 상속한 클래스에서 사용 가능합니다. 이때 상속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방법으로 'A는 B다' 또는 'A에는 B가 있다' 의 ..

JAVA 2019.10.09

[JAVA] ArrayList, ArrayList Size 구하기, Index 구하기

자바 ArrayList [1] 자바의 ArrayList ArrayList는 자바 라이브러리(API)에 들어 있어서 그냥 사용할 수 있습니다. import java.util.ArrayList; public class Test { 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 ArrayList myList = new ArrayList(); Dog d = new Dog(); Dog e = new Dog(); myList.add(d); myList.add(e); int sizeOfArrayList = myList.size(); int index = myList.indexOf(d); boolean isIn = myList.contains(d); boolean isEmpty = myLis..

JAVA 2019.10.09